본문 바로가기
머니스토리

2025년도 정부 R&D사업 부처합동설명회 (2일차) 핵심 내용 요약

by 위즈그램 2025. 1. 30.
반응형

2025년도 정부 R&D사업 부처합동설명회 (2일차) 핵심 내용 요약

 

1. 개요

■ 정부 R&D사업 부처 합동설명회의 2일 차 발표 진행.

■ 산업통상자원부,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(KEIT), 한국산업기술진흥원(KIAT),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(KETEP) 등 참여.

■ 2025년도 정부 연구개발(R&D) 사업 및 지원 방향 발표.

 

2. 주요 R&D 투자 방향 및 지원 내용

■  산업통상자원부 (산업부) R&D 투자 및 지원 방향

√ 2025년도 산업부 R&D 투자 규모: 약 5.7조 원, 역대 최대 규모.

 주요 투자 분야

  • 6대 첨단 전략산업: 반도체, 디스플레이, 2차전지 등 (1조 2,565억 원 투자)
  • 공급망 안정화: 핵심 소재·부품·장비 (1 818억 원)
  • 디지털·친환경 산업 전환: AI, 친환경 공정 기술 (662억 원)
  • 글로벌 협력: MIT, 존스홉킨스, 프라운호퍼 등과 공동 연구
  • 인재 양성: ·박사 인재양성 및 신진 연구자 지원 (2,591억 원)
  • 지역 혁신 및 기업 성장: 3,542억 원 지원

■ 지원 방식 변화

  • 미션 중심의 초격차 프로젝트 지원 (11개 분야, 45개 프로젝트 로드맵)
  • AI 활용 자율 실험실 500개 구축 계획 (2030년까지)
  • 대형 사업 중심으로 통합 관리 및 목표 지향적 과제 확대
  • 품목 지정형 방식 적용: 연구자가 혁신적 아이디어로 상세 기술을 설정하도록 유도

■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(KEIT)

√  산업기술 R&D 기획·평가·관리 기관.

√  2025년 총 3조 3천억 원 규모 R&D 사업 운영.

핵심 분야

  •  소재·부품·장비 기술 개발 (46.9%)
  •  수송기기 기술 개발 (15.6%)
  •  제조 기반 기술 개발 (9.8%)
  •  바이오·헬스 기술 개발 (7.6%)

√  주요 R&D 지원 사업

  • 산업 AI 적용 기술 개발: AI 반도체, 산업 데이터 전처리 자동화
  • 탄소중립 기술 개발: 저품위 니켈 원료 제조공정 개발 (30억 원)
  • 글로벌 기술 협력: 해외 기관과 공동 연구 추진 (213억 원)

 

■ 한국산업기술진흥원 (KIAT)

√  산업기술 사업화 및 국제 협력 지원 기관.

√  2025년 예산 2조 435억 원 편성.

√  핵심 지원 분야

  • 산업기술 사업화 촉진: 기술 이전 및 사업화 지원
  • 중소·중견기업 혁신 지원: 기술개발·금융지원 연계
  • 규제특례 및 신산업 창출: 샌드박스·규제자유특구 운영
  • 국제 공동 연구 지원: 해외 연구소 및 기업 협력 추진

주요 신규 사업

  • 산업 혁신 기반 구축 (240억 원)
  • 반도체 양산 연계형 미니팩 구축 사업 (12인치 웨이퍼 기반)
  • 비즈니스 모델 기반 기술 사업화 지원 (76억 원)

 

■ 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(KETEP)

친환경 및 신재생 에너지 R&D 지원 기관.

2025년 에너지 R&D 예산: 약 446억 원.

주요 R&D 투자 방향

  • 신재생에너지 핵심 기술 개발 (태양광, 풍력, 수소 등)
  • 전력망 고도화 및 안정성 강화 (AC/DC 하이브리드 배전망 기술 개발)
  • 탄소중립 기술 확보 (CCUS·수소 저장 기술)
  • 폐지 석탄화력 발전소를 활용한 장주기 배터리 개발 (2월 5일 공고 예정)
  • 에너지 국제 공동 연구: 해외 선도국과의 협력

 

3. 중소벤처기업부 (중기부) R&D 지원 방향

2025년 중기부 R&D 예산: 1조 521억 원.

주요 지원 사업

  • 기술혁신개발 (779억 원): 신기술 개발 지원
  • 시장확대형 R&D (732억 원): 수출·글로벌 진출 지원
  • 창업성장 R&D (1,150억 원): 창업 7년 이하 기업 지원
  • 팁스 프로그램: 민간 투자 연계형 R&D 지원 (최대 15억 원)
  • 산학연 콜라보 R&D (451억 원): 대학·연구소 협업 지원

변경 사항

  • 전략 기술·탄소중립 분야 지원 확대
  • 목표 달성형 R&D 전환 (인증·실증 목표 미달 시 지원 중단 가능)
  • 중견·중소기업 상생형 혁신 도약 사업 확대
  • 졸업제 강화: 중기부 R&D 사업 지원 횟수 제한

 

4. 주요 R&D 사업 공고 일정

  • 2025년 1~2월: 산업부, KEIT, KIAT, KETEP, 중기부의 주요 사업 공고 진행.
  • 2월 5일: 산업부 및 에너지 분야 R&D 사업 주요 공고 예정.
  • 3~4월: 과제 선정 및 협약 진행.

5. Q&A (핵심 질의응답)

신규 과제 지원이 줄어든 이유는?

  • 기존 과제 지속 지원 부담 증가, 예산 조정 필요.
  • 신규 예산 확보를 위한 정부 협의 진행 중.

산학연 콜라보 과제에서 컨소시엄 구성 가능 여부?

  • 대학·연구기관과 협력 가능, 총괄 연구기관이 주도하는 형태로 운영.

졸업제 적용 방식?

  • 최근 7년간 3회, 총 5회 R&D 지원 시 졸업 대상.
  • 향후 지원 제한 가능성 있음.

산업 AI 및 디지털 전환 관련 R&D 지원 여부?

  • AI 반도체, 자율 실험실, 산업 데이터 분석 및 자동화 기술 등에 집중 투자.

소재·부품·장비(소부장) R&D 지원 계획?

  • 신뢰성 기반 활용 지원, 가상공학 플랫폼 구축 등 포함.

 

6. 결론

2025년 정부 R&D 지원 방향

  • 초격차 기술 확보, 탄소중립 대응, AI 및 디지털 전환, 중소·중견기업 혁신 지원.

중기부 R&D 지원 확대

  • 창업·중견기업 성장 지원, 글로벌 협력 강화.
  • 신청 기업의 맞춤형 R&D 지원 정책 확대.

 

💡 신규 사업 및 공고 세부 내용은 각 부처 및 전문기관 홈페이지에서 확인 필요.

반응형

댓글